본문내용 바로가기 상단메뉴 가기

Data로 보는
암동향

자궁경부암 검진 수검률

  1. 배경

    • 2019년 기준 여성의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은 여덟 번째로 높았으며 (전체 암종 중 2.7%) 자궁경부암의 2010-2014년 5년 순 생존율은 같은 기간의 OECD 국가들에 비해서 높은 수준이었음 우리나라는 자궁경부암 발생률 및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국가암검진사업을 통해 20세 이상의 여성에게 2년 주기로 자궁경부세포검사를 제공하고 있음(2015년 까지는 3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6년부터는 20세 이상 여성으로 대상을 확장하였음)

    지표정의

    • 20-74세의 여성에서 자궁경부암 검진을 목적(국가암검진사업 뿐만 아니라 민간 검진 영역에서 수행하는 암 검진 포함)으로 최근 2년 이내에 자궁경부세포검사를 받은 분율 * 20대 자궁경부암 검진 수검률의 경우 2014년부터 조사 시작

    자료출처

    • 암검진수검행태조사(국립암센터)
  2. 2004-2021년 자궁경부암 검진 수검률 추이

      (자궁경부암 검진 수검률) 2004-2014년 연 2.0%로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14년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변화를 보였음 (연령대별 자궁경부암 검진 수검률) 20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변화, 30-50대에서는 유지하는 추세를 보였음. 60대는 2019년 이후 연 18.7% 증가, 70대는 2016년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증가를 보였음 (지역별 자궁경부암 검진 수검률) 대도시는 2004-2012년에 연 2.1%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2012년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변화, 시군구는 2004년 이후 현재까지 유지하는 추세를 보였음. 읍면동은 2004-2014년에는 연 3.6%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2014년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변화를 보였음
  3. 업데이트일 2021-01-01

    • 추세 테이블
      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