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상단메뉴 가기

Data로 보는
암동향

사망률

    • 업데이트일 2021-01-01

      • 모든 암의 사망률 추이
        필터
           다운로드 형식 

  1. 배경

    • 인구 고령화로 인해 전체 사망자 중 암사망자의 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조기진단율 증가, 치료 방법의 향상 등으로 연령표준화 암 사망률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임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추진 방향에 따라 암검진의 수검률 향상과 함께 검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을 병행하고 또한 암 진료의 수월성 및 형평성을 추구하며, 암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여 암 사망률 감소와 암 생존율을 향상시키고자 함

    지표정의

    • 인구 10만 명당 전체 사망자 중 암으로 사망한 사람 수의 분율 (연령표준화)

    자료출처

    •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2. 1992-2020년 사망률 추이

      (모든암 사망률) 1997-2003년 유지하다가 2003년 이후 연 2.9%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음 (남녀별 모든암 사망률) 남자는 2012년 이후 연 3.8% 감소, 여자는 2003년 이후 연 2.4%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음 (지역별 사망률) 전라남도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모든 암의 사망률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20년 기준 모든암의 사망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특별시, 가장 높은 지역은 부산광역시였음 (암종별 사망률) 위암, 대장암, 간암, 폐암, 자궁경부암의 대부분 암종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유방암의 경우 1997-2004년 연 3.0% 증가하다가, 2004년 이후 연 0.7%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음
  3. 업데이트일 2021-01-01

    • 추세 테이블
      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