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상단메뉴 가기

Data로 보는
암동향

음주율-성인

    • 업데이트일 2021-01-01

      • 성인 전체 및 성별에 따른 현재음주율 추이
        필터
           다운로드 형식 

  1. 배경

    • 음주는 구강암, 인후암, 식도암, 후두암, 간암, 대장암 및 유방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국민 암예방 수칙에서 ‘암예방을 위하여 하루 한두잔의 소량 음주도 피하기’를 권고하고 있음 이에 음주율의 추이는 음주로 인한 암 발생 또는 사망으로 인한 부담을 예측하고 향후 효과적인 음주 규제 관련 정책 평가 지표의 근거로 제시할 수 있는 주요한 자료임

    지표정의

    • 만 19세 이상 인구에서 최근 1년 동안 한달에 1회 이상 음주한 분율 *(연령표준화) *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월간음주율을 본 보고서에서는 현재음주율로 간주함

    자료출처

    • 국민건강영양조사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2. 2005-2020년 성인 현재음주율 추이

      (성인 전체 현재음주율) 2005-2008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증가, 2008년 이후 유지 중임 (남녀별 현재음주율) 남자는 2010년 이후 0.8%감소, 여자는 2005년 이후 연1.6%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음 (연령대별 현재음주율) 19-64세는 2008년 이후 유지, 65세 이상은 2005년 이후 연 1.2%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음. 19-64세 연령대에서 남자는 2010년 이후 연 0.9%감소, 여자는 2005년 이후 연 1.2%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65세 이상 연령대에서 남자는 2005년 이후 유지중이며, 여자는 2017년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변화를 보였음 (소득수준별 현재음주율) 소득수준별 그룹에서 전반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변화를 보였으나, 소득수준이 '중하' 그룹은 2005년 이후 연 0.5%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음. 소득수준별 남자 음주율의 경우, 최근에는 소득수준별 그룹 전반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소득수준이 '하'인 그룹에서 2011년 이후 연 1.8%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음. 소득수준별 여자 음주율의 경우, 소득수준이 '하'인 그룹을 제외한 소득수준별 그룹 전반에서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를 보엿으며, 특히 소득수준이 '상'인 그룹에서 2005년 이후 연 2.2%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음.
  3. 업데이트일 2021-01-01

    • 추세 테이블
      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