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공데이터
- 국가암데이터센터 제공데이터
-
- 암임상 라이브러리 합성데이터(폐암)
- 폐암 환자 5년 이내 원내 사망 정보, 기본정보, 건강정보, 가족력, 신체계측정보, 진단정보, 진단검사, 영상검자, 기관지내시경검사, 폐기능검사, 생체검사, 면역병리, 분자병리, 외과병리, 수술정보, 항암제치료, 방사선치료, 사망정보, 암등록 포함한 폐암 라이브러리 데이터 기반으로 인공지능 생성모델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산출된 합성데이터
4
3214
-
- 질병진단 이미지(유방암)
- 유방암 질병진단을 위해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데이터셋으로 국립암센터에서 한국지능정보사회연구원의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을 통해서 구축하였으며, 현재 한국지능정보사회연구원의 AI-HUB에서 개방하는 데이터이다. 해당 데이터는 한국지능정보사회연구원과 업무협약을 통해 국가암데이터센터에서 개방 활용 가능한 데이터이다. 해당 데이터는 7,500명 대상으로 3만건의 유방촬영술(Mammography) 이미지와 7,500건의 임상 데이터, 1,500건의 악성병변 어노테이션 정보로 구성되어있다.
3
401
-
- 암임상 라이브러리 합성데이터 (유방암)
- 유방암 환자 5년 이내 원내 사망 정보, 기본정보, 병기STAGE, 건강정보, 신체계측정보, 유전체 정보(BRACA1, BRACA2), 면역병리, 수술정보, 항암제치료, 호르몬치료, 방사선치료 정보를 포함한 유방암 라이브러리 데이터 기반으로 인공지능 생성모델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산출된 합성데이터
2
419
-
- 암 공공라이브러리 맞춤형 데이터
- 2012년~2019년까지 총 약 198만 명의 암 환자 기준으로 2012년~2021년까지의 중앙암등록본부(암등록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자격, 보험료, 건강검진 등), 건강보험심사평가원(진료내역, 원외처방전, 상벽내역 등), 통계청(사망일자, 사망원인)의 공공데이터를 결합한 전주기 이력관리형 DB입니다.
2
191
-
- 암임상 라이브러리 합성데이터 (대장암)
- 대장암 환자 5년 이내 원내 사망 정보, 기본정보, 건강정보, 가족력, 신체계측정보, 진단정보, 진단검사, 영상검사, 시술검사, 방사선치료전검사, 방사선치료후검사, 생체검사, 면역병리, 분자병리, 외과병리, 수술정보, 수혈정보, 항암제치료, 방사선치료, 사망정보, 암등록정보를 포함한 대장암 라이브러리 데이터 기반으로 인공지능 생성모델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산출된 합성데이터
1
354
-
- 간암 진단을 위한 의료 영상 데이터
- 간암의 진단에 중요한 다양한 진단 영상과 임상 자료 데이터
0
12
-
- 담낭암 진단을 위한 의료 영상 데이터
- 담낭암 진단을 위한 의료 영상 데이터로써, 진단 영상 및 다양한 임상자료를 포함한 데이터
0
7
-
- 췌장암 진단을 위한 의료 영상 데이터
- 췌장암 진단을 위한 의료 영상 데이터로써, 진단 영상 및 다양한 임상자료를 포함한 데이터
0
9
-
J
신청형
- 음성질환 판별을 위한 음성 데이터
- 후두 음성 질환 진단 및 분류를 위한 정상 및 병적 음성에 대한 데이터 셋으로, 보건복지부 가이드라인에 따라 원시 음성 데이터(WAV)를 멜-스펙트럼 수치 행렬 데이터(CSV)로 변환하여 제공되는 1,102건의 정상 및 병적 음성 데이터
0
79